PROGRAM

컨퍼런스

Check

List
5월 11일(목) 09:20~12:00, 300호
Session 15. 글로벌 화장품시장 수출동향 및 대응전략
   본 세션에서는 국립보건연구원이 보유 및 생산한 다양한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연구 사례를 공유한다. 국립보건연구원은 임상·역학, 유전체, 오믹스 중심에서 최신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의료영상, 라이프로그 등 멀티모달 데이터로 확장하고 있으며,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인공지능 기술 개발 및 활용 연구를 활발히 수행한다. 본 세션에서는 멀티모달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 AI 연구의 최신 동향과 실제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, 국립보건연구원 수행과제를 통한 인공지능 연구와 이를 통해 헬스케어 AI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, 연구자 간 협업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.
  • 좌장
  • 전재필 부장, 미래의료연구부,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미래의료연구부
  • 개회사
  • 박현영원장,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
  • 09 : 30 ~ 09 : 35
  • 인공지능 기반 약물반응성 예측 및 바이어마커 발굴 기술
  • 김선교수/CEO, 컴퓨터공학과/R&D부서, 서울대학교/ (주) 아이겐드럭
  • 09 : 35 ~ 10 : 05
  • 코로나 19 멀티오믹스 활용 중증도 예측 모델 개발 연구
  • 정인욱부교수, 컴퓨터학부, 경북대학교
  • 10 : 05 ~ 10 : 25
  •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라이프로그 데이터 유효성 분석 및 인공지능 활용 사례 소개
  • 윤재석부교수, 사물인터넷학과, 순천향대학교
  • 10 : 25 ~ 10 : 45
  • 스마트 웨어러블 및 소셜 데이터 활용 정신질환 예측 모델 개발
  • 박성규조교수, Master of Data Science, KDI 국제정책대학원
  • 10 : 45 ~ 11 : 05
  • 의료 영상 데이터의 정제, 분석 및 인공지능 활용
  • 심우현부교수, 융합연구지원센터,영상의학과, 서울아산병원
  • 11 : 05 ~ 11 : 25
  • 한국인 뇌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연구
  • 김상철과장, 헬스케어인공지능연구과, 국립보건연구원
  • 11 : 25 ~ 11 : 35
 

BIO KOREA 2025 SPONSOR

BIO KOREA 2025 PARTNERS